상담심리학 첫 번 째
상담심리학은 임상에서 다루기 힘든 정서적, 행동적 문제를 다룹니다. “임상에서 다루지 않아도 되는 감정적 문제”의 경계는 학술 연구와 대중의 편견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우울증을 호소하면 상담은 ‘개인적인 문제’를 다루게 되지만 근본적인 ‘병리’로 보기보다는 자신의 노력으로 해결해야 할 스트레스나 대인관계 문제의 원인을 찾으려 할 것입니다. 및 1:1 또는 그룹 상담. 한편, 임상시험에서는 적응에 문제가 있을 경우 일반적으로 “병리”로 취급하여 적절한 “진단”을 내리며, 중증도에 따라 “치료 대상”으로 간주하게 됩니다. 적절한 약물이나 치료가 적용될 것입니다. 물론 상담과 임상의 차이에서 내담자(환자)의 정신질환 정도에 약간의 차이는 있겠지만, 이는 일반 대중이 병원을 방문하는 것보다 상담센터를 방문하는 것을 더 편하게 느끼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실제로 병원에 가면 평범한 사람들을 많이 볼 수 있다. 가끔 상담소에서 약을 먹어야 하는 중증 정신질환자들이 있습니다.
임상심리학자는 ‘과학자’이고, 상담심리학자도 같은 심리학을 바탕으로 한 과학자입니다. 상담심리학 대학원에서와 마찬가지로 심리치료는 대개 과학적으로 증명되고 통계에 근거하여 쓰여집니다.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심리치료기법은 대부분 축적된 심리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과학적으로 검증되었습니다. 차이점은 임상심리사와 프로그램의 체계성보다는 심리치료나 상담에 있어 개인 치료사의 매력, 카리스마, 능력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입니다. 두각을 나타낸 유명 상담사들은 체계적인 치료기법만으로는 전할 수 없는 특별한 상담능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런 점에서 상담은 내담자와의 일종의 심리예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확실한 것은 상담/심리치료는 단순한 위약을 넘어 인간의 심리적 문제를 “치료”하는 매우 강력한 무기라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병리를 치료할 때 약물과 상담을 병행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이것은 뇌 과학 연구에서도 입증됩니다. 상담심리학은 임상심리학의 끝자락에 있는 뾰족한 창끝입니다. 다른 어떤 분야보다 상담심리사와 임상심리사가 교차하는 부분이 많습니다. 일부 심리학자는 동시에 두 인증서를 가지고 있습니다. 상담심리사는 상담에 더 많은 훈련이나 교육을 할애하고, 임상심리사는 심리평가에 더 많은 훈련을 할애하고 인증을 받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완전히 배타적인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상담사와 임상심리사 자격증을 동시에 취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면허가 없어도 임상심리사가 상담을 할 수 있습니다. 학부부터 대학원까지 상담 관련 과목을 배우는데, 정신건강 임상심리 선택과목에 상담심리 전공이 많다. 반대로 상담심리사는 이상심리학을 배울 때도 있습니다.